분류 전체보기
-
OSI 7 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Layer Model)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구조적으로 나누어 복잡성을 줄이고, 문제 해결을 명확하게 하며, 표준화를 가능하게 만든 국제 표준 모델이다. 장점: 데이터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 문제를 해결하기 편리하다. 국제적인 표준화가 가능하다.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역할: 실제 신호(전기/광)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장비: 허브, 리피터, 케이블, 커넥터단위: Bit예시:UTP 케이블의 T568A/B 규격광케이블을 통해 IDC 간 연결 [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역할: 물리적 연결된 장비 간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 프레임 단위, MAC 주소 기반 통신장비: 스..
네트워크의 기초 2 OSI 7계층과 IPOSI 7 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Layer Model)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구조적으로 나누어 복잡성을 줄이고, 문제 해결을 명확하게 하며, 표준화를 가능하게 만든 국제 표준 모델이다. 장점: 데이터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 문제를 해결하기 편리하다. 국제적인 표준화가 가능하다.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역할: 실제 신호(전기/광)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장비: 허브, 리피터, 케이블, 커넥터단위: Bit예시:UTP 케이블의 T568A/B 규격광케이블을 통해 IDC 간 연결 [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역할: 물리적 연결된 장비 간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 프레임 단위, MAC 주소 기반 통신장비: 스..
2025.09.04 -
대단한 내용은 아니지만 트러블 슈팅과정에서 재미있는 것이 생겨 공유차 글을 써본다. 1.사건의 발단 어느 날 개발하고 나서 관리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지라 하나가 날아왔다.더 보기 기능이 갑자기 작동이 안 한다는 것. 그러나 해당 페이지는 코드 업데이트가 한동안 되지 않았고 이번 점검에서도 업데이트가 없었기 때문에경험상 해당 이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CMS나 DB에 있다고 추측하였다. 그리고 문제가 있는 운영 서버와 개발존을 비슷하게 맞춰놓고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진짜... 문제가 있었다. 그럼 코드수정도 없었는데 왜 잘 운영되면 페이지에 문제가 생긴 것일까? 2. 문제 인식 (MVC Partial View) 해당 기능은 아래와 같았다. 서버는 DB에서 뉴스 리스트를 가져온 뒤 Partial Vie..
엄격해진 Core8과 마이그레이션 이슈 트러블슈팅대단한 내용은 아니지만 트러블 슈팅과정에서 재미있는 것이 생겨 공유차 글을 써본다. 1.사건의 발단 어느 날 개발하고 나서 관리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지라 하나가 날아왔다.더 보기 기능이 갑자기 작동이 안 한다는 것. 그러나 해당 페이지는 코드 업데이트가 한동안 되지 않았고 이번 점검에서도 업데이트가 없었기 때문에경험상 해당 이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CMS나 DB에 있다고 추측하였다. 그리고 문제가 있는 운영 서버와 개발존을 비슷하게 맞춰놓고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진짜... 문제가 있었다. 그럼 코드수정도 없었는데 왜 잘 운영되면 페이지에 문제가 생긴 것일까? 2. 문제 인식 (MVC Partial View) 해당 기능은 아래와 같았다. 서버는 DB에서 뉴스 리스트를 가져온 뒤 Partial Vie..
2025.09.04 -
이 글은 AI의 기본 개념부터 이해하기 위해 정리 된 글이다. 필자는 추후 제너럴 리스트로써 AI 연구의 딥다이브한 내용 보다는 전반적인 이해도를 갖추고 싶었다.또한 사용자의 환경과 니즈에 맞는 AI 설계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을 원하였다. AI 기초부터 공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시작 할 지와 방향성을 잡았다.공부 방향성은 AI의 개념과 현재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종류와 특징을 정리하려고 한다. 시작은 역시 AI부터이다. 1.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1.1 정의 "기계가 인간처럼 학습, 추론, 판단, 문제 해결을 수행하는 기술"AI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범위를 나눔 1.2 범주 Narrow AI (약인공지능)한 가지..
AI 입문 기초 설명 편 (AI,ML,DL,LLM,RAG)이 글은 AI의 기본 개념부터 이해하기 위해 정리 된 글이다. 필자는 추후 제너럴 리스트로써 AI 연구의 딥다이브한 내용 보다는 전반적인 이해도를 갖추고 싶었다.또한 사용자의 환경과 니즈에 맞는 AI 설계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을 원하였다. AI 기초부터 공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시작 할 지와 방향성을 잡았다.공부 방향성은 AI의 개념과 현재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종류와 특징을 정리하려고 한다. 시작은 역시 AI부터이다. 1.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1.1 정의 "기계가 인간처럼 학습, 추론, 판단, 문제 해결을 수행하는 기술"AI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범위를 나눔 1.2 범주 Narrow AI (약인공지능)한 가지..
2025.08.05 -
김서우님의 클라우드 환경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기본 지표 모니터링 발표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클라우드 환경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기본 지표 모니터링김서우님의 클라우드 환경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기본 지표 모니터링 발표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2025.06.11 -
컨플루언트 이기욱 님의 Why Apache kafka & Why confluent? 발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Why Apache kafka & Why confluent? (발표영상)컨플루언트 이기욱 님의 Why Apache kafka & Why confluent? 발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2025.06.11 -
유저스틴님의 MCP 서버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feat. 유튜브) 발표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MCP 서버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feat. 유튜브) 발표영상유저스틴님의 MCP 서버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feat. 유튜브) 발표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2025.06.11